목록스터디 (6)
걍생

내가 만든 서버를 띄우거나, 다른 서버와 통신하거나, 사내 개발 서버에 붙어서 작업하거나 등ssh는 IT 업계 종사자면 절대 모르면 안 되는 개념 중 하나이다. 대학생 시절 과 서버에 접속해 과제 할 때 처음으로 ssh를 접했는데, 당시에는 머신의 cmd를 쓰지 않고 putty로 접속했었다.(그때만 해도 putty가 없으면 서버에 접속 못 하는 줄 알았음 ;;) 회사에 들어와 여러 업무를 하다 보니 단순히 서버에 접속하는 것뿐만 아니라포트 포워딩 (virtualbox 게시글에서 살짝 언급하긴 했지만)이나 ssh tunneling 같은 작업이 필요하게 되었고,꽤나 빈번하게 필요하게 되었는데 헷갈려서 이참에 잘 정리해 두기로 했다. 먼저 SSH란, Secure Shell의 줄임말로 원격 호스트에 접속하기 ..
요즈음 huggingface에는 모델이 대개 *.safetensor로 업로드되어 있지만 예전에는 *.bin이나 *.pt 파일을 종종 볼 수 있었다.*.pt랑 *.bin은 pytorch 모델을 학습시키는 과정에서 `torch.save()` 명령어를 사용해 저장한 결과 파일이다.이렇게 바뀐 이유는 성능, 안정성, 최적화 등등 여러 이유 때문이지만......현재 맡고 있는 업무에서 python이 아닌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 (e.g. C++, java 등) 에서도 로드할 수 있도록 변환할 일이 종종 있는데, 이때 어떤 모델은 되고 어떤 모델은 안 되는 경우가 꽤 많았다. (torch.jit.trace를 썼을 때 torchscript를 쓰라고 에러가 난다거나)모델을 저장하거나 배포하거나, 혹은 실행 속도를 높이기..

이번에도 미래의 나를 위해 남겨 두는 기록 😅학부 시절부터 지금까지 언어에 따라 여러 IDE를 써 봤다.java는 이클립스나 인텔리제이, C/C++는 visual studio (간혹 notepad), flutter는 android studio, python은 vscode랑 pycharm.......현재는 업무에서 java와 python을 둘 다 사용하고 있어서 vscode랑 인텔리제이를 쓴다.이전 회사에서는 python 사용 시 pycharm을 좀 더 권장하긴 했는데, vscode로 디버깅하는 법을 터득하고 나서는 굳이 pycharm을 사용하지는 않음. 그중에서도 vscode를 가장 많이 쓰는데, 이번에 노트북을 새로 사면서 vscode를 새로 설치하고 설정하는 동안 누락된 것들이 있을 것 같아서 내가..

내가 참고하려고 정리해 두는 CUDA 설치 가이드.먼저 간단히 설명하면 CUDA(Compute Unified Device Architecture)란 nvidia GPU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소프트웨어 스택이다. (개인적으로는 API에 가깝다고 생각)이것에 대한 이야기는 다른 글에서 하도록 하고, 오늘은 설치법만 정리하겠다. 1. 호환되는 CUDA 버전 확인GPU의 Compute Capability에 따라 설치할 수 있는 CUDA 버전이 다르므로 설치 전에 그래픽 카드 기종과 호환 가능한 CUDA 및 그에 따른 cuDNN 버전, nvidia 그래픽 드라이버 버전을 확인해야 한다. 1-1. CUDA 및 cuDNNhttps://developer.nvidia.com/cuda-gpus CUDA GPUs ..

본격적으로 취준을 시작했던 2020년 말부터 슬슬 불편함을 느끼기 시작해서 이런저런 장비를 많이 구입했다.들였다가 막상 써 보니 안 맞아서 처분한 것들도 많기 때문에 품목별로 정리를 해 보려고 한다. 그동안 장비에 돈을 얼마나 썼는지 궁금하기도 하고, 쓴 금액을 보면 정신을 좀 차릴 수 있지 않을까 해서 😊.......그럼 시작합니다 what is (was) in my desk...... [처분함] 콕스 엠프리스 (무접점, 50g) - 108,000원 처음으로 들인 5만 원 이상의 비싼 키보드.하루 종일 컴퓨터 앞에 앉아서 작업하다 보니 목이 아프기 시작했다. 급한 대로 다이소 모니터 받침대 + 두꺼운 책 여러 권 + 그 위에 노트북 + 다이소 5000원짜리 키보드로 존버했는데,당시 쓰던 한성 노트북..

개발 중인 제품이 OS를 많이 타다 보니 고객사에 배포할 설치셋을 묶고 배포하기 전에 테스트할 환경이 필요했다.사내 개발 서버가 있긴 한데, 내가 맡고 있는 제품들은 깡통에 설치한다는 전제하에 셋을 묶어야 한다.그러니 이미 다른 제품을 테스트하느라 이것저것 깔려 있는 곳에서는 고객사 환경에서 발생한 문제를 재현하기가 어렵다.docker라는 선택지도 있겠지만 마찬가지로 현상 재현이 안 되길래 나는 virtualbox를 잘 쓰고 있다. 1. virtualbox 설치(현 시점 최신 버전인 7.1.6을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나는 7.1.4를 사용하고 있어서 해당 버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https://download.virtualbox.org/virtualbox/7.1.4/ CentOS는 문제가 없었는데 R..